[저출생 기획] ① '0.97명' 싱가포르, 유연근무로 눈 돌리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한 저출생은 한국만의 문제는 아닙니다.<br /><br />싱가포르는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처음 1명 아래로 떨어졌는데요.<br /><br />우리 정부가 핵심 과제로 꼽은 일·가정 양립을 싱가포르도 추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저희 연합뉴스TV 저출생 해외 기획 시리즈, 첫 순서로 이화영 기자가 싱가포르 현지에 다녀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아이를 낳고 일이냐 가정이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.<br /><br />일과 가정의 균형을 지킬 수 있게 근무 환경이 바뀌면 어떨까요.<br /><br />18개월 된 아이가 있는 소피 홍 씨는 현재 직장에서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유연근무로 아들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더 많아집니다. 가령 아침에 아이를 유치원에 데려다주고 저녁에는 조금 더 일찍 데리러 가서 놀러 갑니다."<br /><br />유연근무제로 직장 복귀는 수월해졌고, 일과 가정의 균형도 잡게 됐다고 설명합니다.<br /><br />싱가포르의 미디어 기업인 '아시아원'은 지난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이 제도를 도입했습니다.<br /><br />처음엔 우려도 있었지만, 문제없이 운영됐고 정착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 "유연근무제 도입 초기에는 제도를 당연하게 여기는 직원들이 있지 않을까, 생산성이 낮아지지 않을까 걱정도 했습니다…하지만 신뢰를 깨는 어떤 일도 없었습니다."<br /><br />나아가 직원들이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, 나이가 들기까지 생애단계에 맞춰 활용되는 시스템을 계속 고민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다른 삶의 단계들에서 무엇이 필요한지, 시스템이 적절한지 지켜봐야 할 겁니다."<br /><br />싱가포르 노사정 협의체는 이 같은 유연근무를 안착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지난 4월 새롭게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가이드라인은 직원이 유연근무를 요청하면 사업주가 2달 안에 답변하도록 했습니다.<br /><br />유연근무는 유연한 장소, 시간, 그리고 업무량 등 어떤 요소로든 구성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협의체가 공개한 요청서 양식을 보면 직원이 원하는 대로 유연근무 형태를 적을 수 있도록 정리돼 있습니다.<br /><br />합계출산율이 지난해 0.97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명 아래로 떨어진 싱가포르.<br /><br />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달라지는 인구 구조에 대한 고심이 일과 가정을 모두 챙길 수 있도록 하는 제도 변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화영입니다. (hwa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진교훈]<br /><br />#싱가포르 #유연근무 #저출생<br /><br />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